티스토리 뷰

– 말로 표현 못하던 아이가 처음으로 감정을 꺼낸 날
🧠 “엄마, 나 속상했어”라는 말, 처음 들어봤어요
처음에는 그저 아이와 시간을 보내기 위해 꺼낸 보드게임이었다.
하루 종일 스마트폰만 보거나 짜증을 부리던 아이가,
게임을 하는 도중 갑자기 울먹이며 말했다.
“엄마, 나 속상했어... 그때 그 말 때문에...”
그 순간 나는 멍해졌다.
평소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던 아이가 처음으로 자신의 마음을 말한 것이다.
그리고 그 계기가 보드게임이었다는 사실은, 나에게 놀라운 충격이자 큰 깨달음이었다.
아이에게 보드게임은 단순한 놀이가 아니었다.
감정을 안전하게 꺼낼 수 있는 공간,
속마음을 말해도 괜찮은 시간,
그리고 내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과 마주 앉은 자리였다.
💬 1. 아이가 감정을 표현하지 못했던 이유 – ‘말이 어려운 아이들’
우리 아이는 평소에도 말을 많이 하지 않았다.
무언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삐지거나 혼자 방으로 들어가곤 했다.
“왜 그랬어?” 하고 물어도 “그냥”이라는 대답만 돌아왔다.
이런 아이는 생각보다 많다.
특히 초등 저학년이나 감정 조절이 어려운 아이들, 혹은 내향적인 성향을 가진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말로 설명하는 데 익숙하지 않다.
🔹 슬픈데 화가 난 것처럼 보일 수 있고
🔹 속상한데 장난처럼 말할 수 있고
🔹 기쁜데 표현하지 않고 웃기만 할 수도 있다.
이런 아이에게 가장 먼저 필요한 건,
"감정을 말하는 연습이 아니라, 감정을 꺼내도 안전하다고 느끼는 경험"이다.
보드게임은 이 역할을 자연스럽게 해준다.
놀이 속에서 이기고 지는 상황, 갈등, 경쟁, 협동이 등장하면서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경험하고, 이를 자연스럽게 표현하게 되는 구조가 만들어진다.
🧩 2. 감정을 꺼낼 수 있었던 보드게임 – ‘딕싯’과의 첫 대화
감정 표현을 도와준 보드게임은 “딕싯(Dixit)”이었다.
이 게임은 그림 카드를 보고, 그에 맞는 이야기를 짓거나 맞추는 방식인데
카드 하나하나가 예술작품처럼 감정을 자극한다.
어느 날, 아이가 고른 그림은
비 오는 날 창가에 혼자 앉아 있는 아이가 그려진 카드였다.
나는 “이 그림을 보면 어떤 기분이 들어?”라고 조심스럽게 물었다.
잠시 침묵하던 아이가 작게 말했다.
“속상해. 친구가 나한테 아까 그렇게 말했을 때랑 비슷해.”
처음이었다.
단순한 그림 한 장을 통해
아이 마음속 깊이 있었던 감정이
조용히, 자연스럽게, 방어 없이 흘러나온 순간.
이후로도 아이는
기쁜 카드, 화난 카드, 신나는 카드를 고르며
하나씩 자신의 감정을 표현해가기 시작했다.
🎯 3. 감정 표현을 이끄는 보드게임의 특징
모든 보드게임이 감정 표현을 돕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 게임은
아이의 감정을 꺼내고 말하게 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 ①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게임
딕싯, 스토리 큐브(Rory’s Story Cubes) 등
감정, 상황, 장면에 대한 자기 해석을 자연스럽게 유도
✅ ② 역할놀이 요소가 있는 게임
캐릭터를 통해 아이가 “내가 아닌 역할”로 감정을 말할 수 있음
미스터리 게임, 협동 RPG 스타일 게임
✅ ③ 이기고 지는 감정을 경험할 수 있는 구조
간단한 카드 게임, 루미큐브, 우노 등도 좋음
게임 중 자연스럽게 승리·패배·양보·질투·뿌듯함을 경험함
이런 게임은 아이에게
“감정은 나쁜 게 아니라, 말해도 되는 것”이라는 걸 몸으로 가르쳐준다.
💡 4. 일상에서 실천하는 감정 표현 놀이법
이제는 딕싯 같은 감정 카드 게임을
주 2~3회, 15분씩 일상 속 놀이 루틴으로 넣고 있다.
그냥 게임이 아니라,
“오늘 하루 어땠는지 말해보는 시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활용법은 간단하다.
🔸 1. 오늘 감정과 비슷한 그림 카드 고르기
🔸 2. 그 감정에 짧은 설명 붙이기
🔸 3. 부모가 먼저 자기 감정을 말해주기
🔸 4. 감정에 대해 칭찬하기 (“그렇게 말해줘서 고마워”)
🔸 5. 그림 일기나 그림으로 표현해보기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아이는 점점 더 자연스럽게
자신의 감정을 말하고, 조절하고, 이해하는 법을 익혀간다.
보드게임은 치료가 아니다.
하지만 치료보다 더 자연스럽게 아이의 마음을 열어주는 문이 될 수 있다.
✅ 마무리 – 아이가 마음을 말할 수 있게 돕는 힘
우리는 종종 아이에게 “왜 그랬는지 말해봐”라고 묻는다.
하지만 감정이 아직 단어로 익숙하지 않은 아이에게
그건 시험 문제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럴 땐 차라리 말 대신,
놀이를 꺼내주자.
보드게임은 아이에게
“말하지 않아도 괜찮아. 네 마음을 나는 궁금해하고 있어.”
라는 메시지를 전해주는 방법이다.
📌 아이와 보드게임을 하면서 웃기도 하고,
지기도 하고, 마음을 말하게 되는 순간.
그건 분명히, 하루 중 가장 따뜻한 20분이 될 것이다.
'교육 & 보드게임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논리력 키우는 가족 보드게임 5 – 아이와 함께하는 두뇌놀이 (0) | 2025.10.21 |
|---|---|
| 보드게임에 숨어 있는 수학의 원리|사고력과 논리력을 키우는 놀이 학습 (1) | 2025.04.26 |
| 보드게임이 뇌에 미치는 놀라운 변화 (0) | 2025.04.25 |
| ADHD 아이를 위한 보드게임 – 집중력 향상 놀이법 (0) | 2025.04.20 |
| 보드게임 VS 디지털 게임 – 두뇌 발달에 더 효과적인 게임은? (0) | 2025.04.18 |
| 두뇌 훈련에 좋은 보드게임 TOP10 –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전략적 선택 (0) | 2025.04.17 |
| 보드게임으로 배우는 수학 — 놀면서 자라는 논리력과 사고력 훈련 (0) | 2025.03.18 |
| 유아·초등 대상 뺄셈 보드게임 추천: 재미있게 배우는 수학 놀이 (0) | 2025.03.18 |
- Total
- Today
- Yesterday
- 보드게임 추천
- 여름별미
- 보드게임
- 간단반찬
- 여름반찬
- 집밥레시피
- 한국 소도시 여행
- 간단한한끼
- 서울근교여행
- 힐링여행
- 한그릇요리
- 경남 소도시 여행
- 유·초등보드게임
- 자취요리
- 자취생요리
- 전남 소도시 추천
- 여름밥상
- 간단요리
- 산책코스
- 강원도여행
- 가을여행지
- 속초여행
- 강원도 소도시 여행
- 가을산책
- 국내여행
- 가족보드게임
- 수학보드게임
- 단풍명소
- 조용한 국내 여행지
- 보드게임추천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